2025 최저임금 얼마?|시급·월급 총정리

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030원, 월급 2,096,27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근로계약서 작성법부터 임금체불 예방 가이드까지, 지금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빠르게 확인해보세요.

2025 최저임금 기준 확인하기

✅ 위 버튼을 통해 최저임금 기준과 계산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2025년 최저임금 얼마일까?

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030원, 월급 환산 시 2,096,270원(월 209시간 기준)입니다.

최저임금은 정규직, 비정규직, 일용직, 알바를 포함해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구분2024년2025년증감
시급9,860원10,030원+170원 (1.7%)
월급(209시간)2,060,740원2,096,270원+35,530원
최저임금 계산기 이용하기

✅ 내 근무시간 기준으로 월급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수습 기간 중 임금 감액 가능할까?

1년 이상 근로계약인 경우, 수습 3개월 이내에는 최저임금의 90%까지 감액 가능하지만, 단순노무직, 1년 미만 계약자에겐 감액이 허용되지 않습니다.

구분90% 적용100% 적용
시급9,027원10,030원
월급1,886,643원2,096,270원

근로계약서 꼭 써야 하나요?

근로 시작 즉시 근로계약서 작성은 의무입니다. 미작성 시 사업주는 최대 500만원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.

기재해야 할 필수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계약 기간
  • 임금 및 수당 내역
  • 근무 장소 및 시간
  • 휴일, 휴게시간
  • 수습기간 여부

표준 근로계약서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
근로계약서 양식 다운로드

✅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처벌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.

임금체불 예방과 신고 절차

임금체불은 시급·주휴수당 미지급, 퇴직금 미지급, 지급 지연 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.

체불이 발생하면 아래 절차를 따라 대응하세요:

  1. 내용증명으로 공식 요청
  2. 고용노동부에 진정 제기 (온라인 가능)
  3. 소액체당금, 법원 청구, 검찰 고발

근로계약서, 출퇴근 기록, 급여 명세서는 반드시 보관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해야 합니다.

2025년 주휴수당과 연차수당은?
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반드시 지급받아야 합니다.

항목조건금액
주휴수당주 15시간 이상80,240원/주
연차수당1년 근속10,030×8×15 = 1,204,500원

수습 기간에도 감액이 불가한 경우가 있으니 계약조건과 직종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임금체불 예방 체크리스트

  • 근로계약서 사본 필수 보관
  • 출퇴근 기록 캡처 또는 저장
  • 급여 입금 내역 정리
  • 수습 여부와 근무시간 명확히 기재
  • 퇴직금 산정 기준 확인

임금체불 사업장은 명단 공개 및 특별감독 대상이 되므로, 사업주도 유의해야 합니다.




다음 이전